Crimson 광장북남미에서 활동하고 있는 고려대학교 교우들 간에 자유롭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입니다.
지역별 교우회에서 게시물을 등록하면 자동으로 리스팅됩니다. 인증된 회원에게만 읽기, 쓰기 권한을 허용합니다. Only for Korea University Alumnus
Arab의 成功事例 Tunisia: ‘Arab의 봄’ 4년만에 이룩하다.
05/26/2015
Arab의 成功事例
Tunisia: ‘Arab의 봄’ 4년만에 이룩하다.
한국인에게있어 Tunisia는 달나라보다도 ‘먼’ 곳이다. 튀니지아는 동아건설(東亞建設)의 대수로(大水路) 프로젝트로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진 리비아(Libya)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알제리아, 북쪽과 동쪽으로는 지중해에 면해 있는 나라다. 면적은 뉴욕주와 뉴저지주를 합친 것과 비슷하고 인구는 천 백만 정도이다. 서울인구보다 적다. 1534년부터1881년까지 3백년이상 오늘날 소아시아(Minor Asia)에 있는 터키의 전신인 Ottoman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1881년부터 1956년 독립하기까지 불란서 식민지배를 받았다.
지역적으로는 사하라사막 이북(以北) 북아프리카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는 아랍권이다. 한국과 경제적인 유대(紐帶)가 미약(未弱)하여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한 명도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는 나라다.
우리에게는 튀니지아라는 생소(生疏!!!)한 국명(國名)보다는 2,200년전 세기의 제국(帝國) 로마와 지중해 패권(覇權)을 겨루었던 ‘카르타고’*의 하니발(Hannibal)장군의 나라로 설명하면 더 친근하게 느껴지는 나라가 아닐까 싶다.
이 튀니지아의 Beji Caid Essebsi (88) 대통령이 지난 주 목요일(21일) 워싱턴방문에 앞서 뉴욕타임즈가 19일자에서 튀니지아에 정치상황에 대하여 장문의 기사 –Seeking Help to Sustain an Arab Spring Success Story-와 22일자 Obama Upgrades Tunisia’s Status as a U.S. Ally. 제하의 기사를 요약하여 본다.
2011년 전 세계적으로 민주화의 바람을 일으킨 아랍의 봄 발원지(發源地)가 바로 튀니지아였다. 2010년 12월 튀니지아 한 과일 행상의 분신(焚身)으로 촉발된 시위가 점점 커져 튀니지아는 물론 이웃 리비아, 이집트, 예맨의 정권을 일시에 전복(顚覆)시켰다.
2011년 '국제정치학자들은 모두 박사 학위를 반납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농담 반 진담 반의 말이 학계에서 돌았다. 당시 미국 국무부와 중앙정보부의 중동·북아프리카 담당자들은 상급자 볼 면목이 없어 연일 진땀을 흘렸다고 한다. 서방과 돈독한 관계를 맺고 있던 아랍의 독재자들이 도미노처럼 하나둘 넘어가며 축출되는 '아랍의 봄'이 벌어졌지만 이를 학자나 외교관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레고리 가우스 미 텍사스A&M대 교수는 2011년 7월 외교 전문지 포린어페어스에 실린 '중동학계는 왜 '아랍의 봄'을 놓쳤나'라는 기고에서 "거의 모든 아랍 전문가들이 일반인과 다를 바 없이 '아랍의 봄'을 보고 그저 놀라야 했다"고 자조했다.
그러나 그 와중(渦中)와에서도 튀니지아는 독재정권을 전복시킨 아랍의 봄 이후 4년만인 작년 12월 실시된 “자유-민주투표”에서, 독재정권 이전 민간정부에서 내무부장관을 역임, 오랜 국정경험을 쌓은 Essebsi씨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평화적 정권교체가 이룩되었다.
Essebsi대통령은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고용을 창출하여야 하는 산적한 숙제를 안고 있으나,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룩한 신(新)정부는 서방으로부터 많은 지원와 투자를 기대하고 있다
21일 그와 회담한 오마바대통령은 2011년 ‘아랍의 봄’이후 튀니지아가 이룩한 민주화과정을 높이 평가하고, 불안정하고 적대적인 아랍지역에서의 교두보(橋頭堡)를 확보하려는 전략적 차원에서 미국과 튀니지아 관계를 동맹국 (an Ally)수준으로 격상(格上)시켰다.
방위에 관한 언급은 없었지만, 동맹국대우를 받게되면, 연수(硏修)프로그램, 연구개발장비대출혜택 그리고 방위무기 상업차관공여등 여러 측면에서 지원이 확대된다.
현재 미국의 동맹국은 서유럽의 NATO동맹국이외에 일본, 이스라엘, 바레인, 쿠웨이트, 아르헨티나, 호주, 이집트, 모로코, 뉴질랜드, 파티스탄, 필리핀, 태국 그리고 한국이다. 대만도 같은 대우를 받고 있다.
‘아랍의 봄’ 우등생에게 돌아간 미국의 선물로 해석된다….
*(튀니시아의 수도는 아직도 Carthage다.)
(당시 필자는 그 아랍의 봄이 동진(東進)하여 ‘북조선’까지 불어 닦쳐 김정일 정권이 이집트 무바라크(Mubarak)과 같이 무너지기를 기원하면서 별첨과 같은 차량용 범퍼 스티커를 제작, 배포한 적이 있었다. 효험(效驗)이 있었는지 김정일은 그 해 12월 17일 일흔의 나이로 세상을 하직(下直)하였다.)
Written by Ted Han on May 26, 2015 NavyOfficer86201@gmail.com (718)631-1500
로그인 하시면 이 글에 대한 코멘트를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